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7

1형식부터 3형식까지 수동태 활용법 1형식부터 3형식까지 수동태 활용법 수동태는 영어에서 굉장히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주어가 행동의 하는 당사자가 아니라, 행동을 받는 이가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모든 문장 형식이 수동태로의 변환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1형식과 2형식에서 수동태 사용이 제한되는 이유와, 3형식에서 수동태의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형식과 2형식에서 수동태의 제한 1형식 (S + V) 1형식은 가장 기본적인 문장 구조로, 주어(S)와 동사(V)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Birds fly." (새들이 난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여기서 '새들'은 주어이며, '난다'는 동사입니다. 수동태를 쓰기 위해서는 목적어를 주어로 바꿔서 '동사되어진다'라고 사용합니다. 하지만 1형식 문장은 수동.. 2024. 3. 19.
수일치 규칙 완전 정복 수일치 규칙 완전 정복 문장의 주어와 동사의 수를 맞춰서 문장을 완성시키는 것을 수일치 규칙이라고 합니다. 주어와 동사의 수를 맞추는 경우는, 현재시제 동사를 쓸때와 was, were을 쓸 때, 현재완료 시제인 have p.p와 has p.p를 쓸때 입니다. 수을 맞출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한 번 알아봅시다! 동사의 형태와 수일치에 대한 간단한 원칙 단수 주어는 단수 동사와 짝을 이뤄야 합니다. 예를 들어, 'The cat is very cute.' (그 고양이는 매우 귀여워요.)라고 할 때, 'cat'이 단수 주어이기 때문에 'is'라는 단수 동사를 사용하는 것이네요. 여기서 현재 완료시제로 바꾼다면 has been 이나 과거시제로 바꾼다면 was를 쓰면 됩니다. 복수 주어는 복수 동사를 필요로 합니다.. 2024. 3. 19.
수량형용사 완전 정복 수량형용사 완전 정복 수량형용사는 양이나 정도, 분량을 나타내는 형용사 입니다. 가산명사인 단수명사, 복수명사와 불가산 앞에 어떤 수량형용사가 붙는지 한 번 알아볼까요? 1. 모든 것을 포괄하는 'All'과 매일을 특별하게 만드는 'Every' 'All'과 'Every'는 모든이라고 해석되는 형용사이지만, 조금 다릅니다. 'All'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강력한 단어로, 우리의 문장에 전체성을 나타냅니다. 이때 all 뒤에는 복수 명사와 불가산 명사가 옵니다. 예를 들어, 'All students must attend the meeting.'라고 할 때, 우리는 한 명도 빠짐없이 모든 학생들이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외가 없이 전체 다를 가리킨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반면.. 2024. 3. 18.
영어 관사와 지시형용사 더 이상 헷갈리지 않는 방법 영어 관사와 지시형용사 더 이상 헷갈리지 않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사와 지시형용사에 대해서 포스팅 해볼게요. 영어 관사와 지시형용사는 명사 앞에 쓰는데, 종종 헷갈릴때가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이 부분을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릴게요. 1. 부정관사 'a'와 'an'의 사용법 먼저, 부정관사 'a'와 'an'에 대해 알아볼게요. 부정관사라는 말에서 부정이라는 말은 정해지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즉, 이 관사들은 특정하지 않은 단수 명사 앞에서 사용됩니다. 'a'는 자음 소리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an'은 모음 소리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쓰인답니다. 예를 들어, 'I saw a cat in the garden.' (나는 정원에서 고양이 한 마리를 봤어요.)에서 'cat'은 자.. 2024. 3. 18.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차이점 파악하기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차이점 파악하기 1. 가산명사, 불가산 명사, 무엇이 다를까요? 가산명사는 'countable nouns'라고 불립니다. 즉, 셀 수 있는 명사들이다라는 뜻이에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숫자로 세어 나타낼 수 있는 명사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I bought three cookies."(나는 쿠키 세 개를 샀어서.)에서 'cookies'가 바로 가산 명사랍니다. 반면에, 불가산 명사는 'uncountable nouns'라고 불려서, 셀 수 없는 명사들을 지칭합니다. 주로 물질이나 개념 같은 것들을 불가산이라고 해요. 예를 들어, "I need some advice."(저는 조언이 좀 필요해요)에서 'advice'가 불가산명사에 해당합니다. 2. 예시를 들어 이해하기 가산명사를 사.. 2024. 3. 15.
5형식 목적격보어 파악하기 5형식 목적격보어 파악하기 5형식은 주어+타동사+목적어로 구성된 3형식 문장 뒤에 목적격 보어가 하나 더 있는 형식을 이야기합니다. 1. 보어란 무엇인가? 보어는 보충해 주는 말로 앞에 있는 명사를 설명해 주거나, 다시 애기해 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2형식일때는 주어를 보충해줘서 주격보어라고 하고, 5형식일때는 목적어를 보충해 준다고 해서 목적격보어라고 합니다. 2. 보어에는 어떤 품사가 들어갈까요? 명사를 다시 반복하는 보어인 경우에는 명사가, 앞의 명사를 설명해 줄 때는 형용사가 들어갑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She is a tree. (그녀는 나무다) - X 그녀는 사람이므로 명사 보어는 사람이 들어가야지 물건이 들어가면 안 되므로 이건 틀린 문장입니다. She is reporter. (그녀는 기.. 2024. 3. 13.
4형식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살펴보기 4형식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살펴보기 3 형식은 주어+동사+목적어를 쓰는 형식으로, 목적어를 쓰는 동사를 타동사라고 말합니다. I study English. (나는 영어를 공부해요.) I ate dinner. (나는 저녁을 먹었어요.) 그런데, 이런 타동사 중에는 목적어를 하나만 쓰는 동사도 있지만, 목적어를 두 개를 가지는 동사도 있습니다. 그런 동사를 보고 4형식 동사라고 합니다. 4 형식은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를 쓰는 형태를 말합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라고 있으니까 무슨 말인지 헷갈리죠? 예를 들어드릴께요. The school gave the prize. (그 학교는 상을 주었다.) 그러면 이 문장은 목적어가 하나니까 3 형식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하지만 여기서 '주었다'라고 하.. 2024. 3. 12.
1형식과 2형식, 3형식에 대해서 알아보기 1형식과 2형식, 3형식에 대해서 알아보기 영어를 공부할 때 문장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만들기 위해 문장의 구조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장의 형식을 배우는 것은 문장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을 준답니다.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영어 문장 형식인 1형식, 2형식, 3형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1형식: 주어(S) + 동사(V) 1형식은 가장 기본적인 문장 형식으로, 주어 + 동사를 기본으로 합니다. 즉, 주어와 동사만으로도 전달하고자 하는 말이 뭔지를 알겠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렇게 동사 뒤에 아무것도 붙지 않아도 되는 동사를 자동사 또는 1형식 동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The sun rises. (태양은 떠오른다.) 이것만 써도 말은 되는데 내용이 뭔가 좀 아쉽죠.. 2024. 3. 11.
반응형